계란 노른자는 콜레스테롤이 높을 것 같아서 먹기 꺼려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계란의 콜레스테롤에 대한 질문입니다.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색인-
1. 계란의 효능
2. 달걀 노른자와 알츠하이머병
3. 좋은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
4. 건강하게 먹는 방법
5. 일일 섭취량
계란의 이점
- 동맥경화를 예방하다
- 뇌 기능 향상
- 암 전이 억제
- 간 기능 강화
- 면역력을 향상
- 노화 방지 시력
- 심혈관 질환 예방
달걀 노른자와 알츠하이머병
뇌의 기억과 활성화에는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이 필요합니다.
뇌의 시냅스에서 아세틸콜린이 방출되면 주변의 다른 뉴런에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콜린은 이 아세틸콜린의 주요 공급원입니다.
달걀 노른자 레시틴은 모든 식품 중 콜린 함량이 가장 높고 흡수율이 뛰어나므로 콜린과 달걀 노른자를 함께 먹으면 다른 식품보다 치매 예방에 좋다.
콩과 옥수수에 함유된 콜린은 뇌의 영양분을 확인하는 관문이라 할 수 없다.
그러나 달걀 노른자에 있는 콜린은 뇌에 많이 흡수되어 치매 예방에 직접적으로 관여합니다.
좋은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은 HDL, VLDL, LDL의 도움을 받아 우리 몸으로 운반됩니다.
어떤 콜레스테롤이 어떤 도움을 받아 운반되는지에 따라 좋은 콜레스테롤(HDL)과 나쁜 콜레스테롤(LDL)로 나뉩니다.
나쁜 콜레스테롤은 트리글리세리드를 증가시키고 동맥을 단단하게 만드는 반면 좋은 콜레스테롤은 그 반대입니다.
좋은 콜레스테롤에는 레시틴의 주성분인 콜린이 많이 필요합니다.
-- 디스플레이 수평형 -->
달걀 하나에는 0.18g의 레시틴 콜린이 들어 있습니다.
아주 적은 양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 뇌에는 4~8%의 레시틴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비율로 보면 계란 노른자에 레시틴이 많이 들어있다는 뜻이다.
건강하게 먹는 방법
계란후라이는 많이 먹기 편합니다.
계란을 동물성 지방으로 조리하면 체내에서 불필요한 콜레스테롤이 합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올리브유나 포도씨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으로 요리하는 것이 버터를 사용하는 것보다 안전합니다.
삶은 계란은 건강에 최고입니다.
일일 섭취량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270mg이며, 성인의 권장 섭취량은 300mg입니다.
국내 실험에 따르면 자원봉사자 10명이 1주일 동안 하루 5알씩 먹은 뒤 혈액검사를 받았지만 걱정스러운 고지혈증은 없었다.
달걀에 함유된 레시틴이 하루 콜레스테롤 권장량의 약 4배를 함유하고 있는데도 콜레스테롤을 분해하기 때문이다.
특히 콜레스테롤을 제한할 필요가 없다면 치매 예방을 위해 하루에 달걀 한두 개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